맨위로가기

전쟁과 평화 (1956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쟁과 평화는 1956년에 개봉한 영화로, 레프 톨스토이의 동명 소설을 각색했다. 오드리 헵번, 헨리 폰다, 멜 페러 등이 출연했으며,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을 배경으로 나타샤, 피에르, 안드레이의 개인적인 성장과 복잡한 관계를 그린다. 킹 비더가 감독하고, 18,000명의 엑스트라와 10만 개 이상의 군복 단추를 사용하는 등 대규모 제작으로 화제를 모았다. 비평가들은 웅장한 스케일과 배우들의 연기를 칭찬했지만, 원작 소설의 축약된 내용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골든 글로브상 등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 및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1967년 소련에서 제작된 동명의 영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쟁과 평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 전쟁과 평화 (영화 시리즈)
    《전쟁과 평화》는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화화한 시리즈로, 1956년 소련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감독하여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을 배경으로 전쟁과 평화의 서사시를 70mm 필름으로 제작,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 및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 서사 영화 - 덕혜옹주 (영화)
    허진호 감독 연출, 손예진 주연의 영화 《덕혜옹주》는 권비영의 소설을 원작으로 일제강점기 덕혜옹주의 삶과 귀환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하여 흥행과 함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서사 영화 - 석양의 무법자
    《석양의 무법자》는 남북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20만 달러의 남부 동맹 군자금을 쫓는 세 인물, 블론디, 투코, 엔젤 아이즈의 협력, 배신, 추격을 그린 세르지오 레오네 감독의 스파게티 웨스턴 영화이다.
전쟁과 평화 (1956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영화 정보
제목전쟁과 평화
원제War and Peace
이탈리아어 제목Guerra e pace
감독킹 비더
제작디노 데 라우렌티스
각본브리짓 볼런드
마리오 카메리니
엔니오 데 콘치니
잔 가스파레 나폴리타노
이보 페릴리
마리오 솔다티
킹 비더
로버트 웨스터비
원작레프 톨스토이전쟁과 평화
출연오드리 헵번
헨리 폰다
멜 페러
비토리오 가스만
허버트 롬
오스카 호몰카
아니타 에크베르그
헬무트 단틴
배리 존스
안나 마리아 페레로
밀리 비탈레
제레미 브렛
음악니노 로타
촬영잭 카디프
편집레오 카토초
스튜어트 길모어
제작사Ponti-De Laurentiis Cinematografica
배급사파라마운트 픽쳐스 (미국)
디노 데 라우렌티스 시네마토그래피카 (이탈리아)
개봉일미국: 1956년 8월 21일
이탈리아: 1956년 12월 29일
일본: 1956년 12월 22일
상영 시간208분
제작 국가미국
이탈리아
언어영어
제작비600만 미국 달러
흥행 수입미국/캐나다: 1250만 미국 달러
미국/이탈리아/프랑스/독일 렌탈: 1200만 미국 달러
일본 배급 수입2억 942만 엔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2. 등장인물

오드리 헵번이 나타샤 로스토바 역을, 헨리 폰다가 피에르 베주호프 백작 역을, 멜 페러가 안드레이 볼콘스키 공작 역을 맡았다. 비토리오 가스만은 아나톨 쿠라긴 공작 역을, 허버트 롬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역을, 오스카르 호몰카는 미하일 쿠투조프 원수 역을, 아니타 에크베르그는 엘렌 쿠라기나 역을 연기했다.

이 외에도 헬무트 단틴 (페도르 돌로호프 역), 툴리오 카르미나티 (바실리 쿠라긴 공작 역), 배리 존스 (일리야 로스토프 백작 역), 밀리 비탈레 (리제 볼콘스카야 역), 레아 세이들 (나탈리야 로스토바 백작 부인 역), 안나 마리아 페레로 (마리야 볼콘스카야 역), 윌프리드 로손 (니콜라이 볼콘스키 공작 역), 메이 브리트 (소냐 로스토바 역), 제레미 브렛 (니콜라스 로스토프 역), 패트릭 크리언 (바스카 데니소프 역), 숀 바렛 (페탸 로스토프 역), 존 밀스 (플라톤 카라타예프 역) 등이 출연했다.

안드레이 볼콘스키 (멜 페러, 왼쪽)와 나타샤 로스토바 (오드리 헵번, 오른쪽)

2. 1. 배역 (원작)

오드리 헵번이 나타샤 로스토바 역을, 헨리 폰다가 피에르 베주호프 백작 역을, 멜 페러가 안드레이 볼콘스키 공작 역을 맡았다. 비토리오 가스만은 아나톨 쿠라긴 공작 역을, 허버트 롬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역을, 오스카르 호몰카는 미하일 쿠투조프 원수 역을, 아니타 에크베르그는 엘렌 쿠라기나 역을 연기했다. 이 외에도 헬무트 단틴 (페도르 돌로호프 역), 툴리오 카르미나티 (바실리 쿠라긴 공작 역), 배리 존스 (일리야 로스토프 백작 역), 밀리 비탈레 (리제 볼콘스카야 역), 레아 세이들 (나탈리야 로스토바 백작 부인 역), 안나 마리아 페레로 (마리야 볼콘스카야 역), 윌프리드 로손 (니콜라이 볼콘스키 공작 역), 메이 브리트 (소냐 로스토바 역), 제레미 브렛 (니콜라스 로스토프 역), 패트릭 크리언 (바스카 데니소프 역), 숀 바렛 (페탸 로스토프 역), 존 밀스 (플라톤 카라타예프 역) 등이 출연했다.

2. 2. 한국어 더빙 성우진

2. 2. 1. KBS (1983년 3월 16일)

2. 2. 2. KBS (1997년 12월 24일)

2. 2. 3. 일본어 더빙판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NHK판후지 TVTV 아사히소프트판
나타샤 로스토프오드리 헵번니카이도 유키코이케다 마사코
피에르 베주호프 백작헨리 폰다나카타 코지오야마다 무네노리[24]나카타 코지코야마 리키야
안드레이 볼콘스키멜 페러히로카와 타이치로이노우에 미치히로
아나톨 쿠라긴[25]비토리오 가스만핫토리 테츠지미야타 히카루호리 카츠노스케아오바 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허버트 롬오오츠카 치카오이에유미 이에마사우츠미 켄지카네오 테츠오
쿠투조프 사령관오스카 호몰카이케다 타다오아메모리 마사시마츠이 노리오
엘렌 쿠라긴아니타 에크베르그코다 히로코나카지마 아오이시오타 토모코
도로호프헬무트 단틴겐다 텟쇼시미즈 아키히코
바실리 쿠라긴 공작툴리오 칼미나티우에다 토시야세코 요시마루
일리야 로스토프 백작배리 존스요리야마 히로시주쿠 잇큐
리제 볼콘스카야밀리 비타레오카모토 마리안도 마키
로스토프 백작 부인레아 시들누마나미 테루에쿠보타 타미에
마리야 볼콘스카야안나 마리아 페레로노부자와 미에코이시즈카 리에
볼콘스키 공작윌프리드 로손테라시마 미키오코지마 토시히코
소냐 로스토프메이 브리트무토 레이코아소 유리
니콜라스 로스토프제레미 브렛사와이 마사노부오오타키 히로시
데니소프패트릭 클린이리에 타카시
페챠 로스토프션 바렛오미가와 타카유키츠루 히로유키
마리야 페론스카야게르트루드 플린
플라톤 카라타예프존 밀스미야우치 코헤이오오타키 히로시
불명
그 외
히라바야시 나오조
키요카와 모토무
센다 미츠오
미키모토 유키유키
하나가타 케이코
후지모토 죠
야스다 타카시
코세키 하지메
카토 마사유키
오오야 카네오미
야마모토 토시유키
사사오카 시게조
이구치 나리토
스즈키 레이코
야마자키 세츠코
코히루이마키 코이치
스즈키 히로시
내레이터이토 소이치오오키 타미오



더빙TV 아사히판소프트판
연출고바야시 모리오
나카노 간지
사토 토시오
번역키하라 타케시키하라 타케시
시바야 마유미[25]
조정마에다 히토노부우에무라 토시아키
효과시게 히데히코
TFC 그룹
프로듀서오오타니 에이호
제작도호쿠 신샤스튜디오 에코
TV 아사히파라마운트


  • NHK판: 첫 방송 1970년 1월 3일·4일 '극영화' ※전후편으로 나누어 방송[23]
  • 후지 TV판: 첫 방송 1972년 5월 19일·26일 '골든 영화 극장' ※전후편으로 나누어 방송
  • TV 아사히판: 첫 방송 1980년 12월 14일·21일 '일요 양화 극장' ※전후편으로 나누어 방송
  • 소프트판: 2003년 12월 17일 발매된 DVD에 첫 수록·비디오 온 디맨드에도 사용.
  • 자막 번역: 고세 시즈오

3. 줄거리

1805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정복 야욕으로 유럽은 전쟁에 휩싸인다. 모스크바의 일리야 로스토프 백작 가문의 아들 니콜라이 로스토프는 페티야 로스토프, 나타샤 로스토바 등과 함께 군에 입대한다. 로스토프 가의 친구이자 베주호프 백작의 사생아 피에르 베주호프는 파리에서 돌아와 나폴레옹을 옹호한다.

피에르는 평화주의자였지만, 호색한 친구 돌로호프를 찾아가고, 안드레이 볼콘스키 공작을 만난다. 안드레이는 피에르에게 아버지의 위독 소식을 전하고, 피에르는 아버지의 유산을 상속받는다.

엘렌 쿠라기나는 피에르에게 접근하고, 피에르는 안드레이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녀와 가까워진다. 안드레이는 아내 리즈를 두고 미하일 쿠투조프의 부관으로 아우스터리츠 전투에 참전했다가 부상당한다. 나폴레옹은 안드레이의 용기를 칭찬하며 치료를 명령한다.

모스크바에서 피에르는 엘렌과 결별하고 로스토프 가와 함께 시골로 간다. 안드레이는 리즈의 출산과 죽음을 겪고 슬픔에 잠긴다. 피에르는 엘렌과 돌로호프의 관계에 분노하여 결투를 벌이고, 서로에게 상처를 입힌다.

사냥 중 안드레이는 나타샤에게 매료되고, 무도회에서 춤을 추며 결혼을 결심한다. 볼콘스키 공작의 반대로 1년을 기다리기로 하지만, 안드레이는 나타샤의 약속을 받고 알렉산드르 1세와 나폴레옹의 틸지트 조약을 위해 프로이센으로 떠난다. 그 사이 나타샤는 아나톨 쿠라긴에게 유혹당하지만, 피에르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한다.

1812년, 나폴레옹은 네만 강을 건너 러시아를 침공한다. 그랑 다르메에 맞서 쿠투조프는 후퇴하며 청야전술을 펼치고, 스몰렌스크를 거쳐 보로디노 전투에서 방어선을 구축한다. 피에르는 전쟁을 증오하며 보로디노에서 안드레이를 만나지만, 안드레이는 나타샤를 용서하지 못한다. 전투 후 쿠투조프는 모스크바를 포기하고 후퇴한다.

로스토프 가는 부상병들을 돕고, 나타샤는 부상당한 안드레이와 재회한다. 피에르는 프랑스군에 포로로 잡히지만, 농민 플라톤과 우정을 쌓는다. 안드레이는 결국 사망한다.

나폴레옹은 러시아의 저항에 퇴각을 결심하고, 피에르를 포함한 포로들은 강제 행군을 한다. 페티야는 전투 중 사망하고, 피에르는 풀려나지만 슬픔에 잠긴다. 돌로호프는 피에르에게 엘렌의 죽음을 알리고, 러시아군은 프랑스군을 추격한다.

로스토프 가는 모스크바로 돌아와 폐허가 된 저택을 발견하지만, 나타샤는 희망을 잃지 않는다. 피에르와 나타샤는 재회하여 서로의 상처를 위로하고 사랑을 확인한다.

3. 1. 1805년 ~ 1812년

1805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정복 야욕으로 유럽은 전쟁에 휩싸인다. 모스크바의 일리야 로스토프 백작 가문의 아들 니콜라이 로스토프는 페티야 로스토프, 나타샤 로스토바 등과 함께 군에 입대한다. 로스토프 가의 친구이자 베주호프 백작의 사생아 피에르 베주호프는 파리에서 돌아와 나폴레옹을 옹호한다.

피에르는 평화주의자였지만, 호색한 친구 돌로호프를 찾아가고, 안드레이 볼콘스키 공작을 만난다. 안드레이는 피에르에게 아버지의 위독 소식을 전하고, 피에르는 아버지의 유산을 상속받는다.

엘렌 쿠라기나는 피에르에게 접근하고, 피에르는 안드레이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녀와 가까워진다. 안드레이는 아내 리즈를 두고 미하일 쿠투조프의 부관으로 아우스터리츠 전투에 참전했다가 부상당한다. 나폴레옹은 안드레이의 용기를 칭찬하며 치료를 명령한다.

모스크바에서 피에르는 엘렌과 결별하고 로스토프 가와 함께 시골로 간다. 안드레이는 리즈의 출산과 죽음을 겪고 슬픔에 잠긴다. 피에르는 엘렌과 돌로호프의 관계에 분노하여 결투를 벌이고, 서로에게 상처를 입힌다.

사냥 중 안드레이는 나타샤에게 매료되고, 무도회에서 춤을 추며 결혼을 결심한다. 볼콘스키 공작의 반대로 1년을 기다리기로 하지만, 안드레이는 나타샤의 약속을 받고 알렉산드르 1세와 나폴레옹의 틸지트 조약을 위해 프로이센으로 떠난다. 그 사이 나타샤는 아나톨 쿠라긴에게 유혹당하지만, 피에르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한다.

1812년, 나폴레옹은 네만 강을 건너 러시아를 침공한다. 그랑 다르메에 맞서 쿠투조프는 후퇴하며 청야전술을 펼치고, 스몰렌스크를 거쳐 보로디노 전투에서 방어선을 구축한다. 피에르는 전쟁을 증오하며 보로디노에서 안드레이를 만나지만, 안드레이는 나타샤를 용서하지 못한다. 전투 후 쿠투조프는 모스크바를 포기하고 후퇴한다.

로스토프 가는 부상병들을 돕고, 나타샤는 부상당한 안드레이와 재회한다. 피에르는 프랑스군에 포로로 잡히지만, 농민 플라톤과 우정을 쌓는다. 안드레이는 결국 사망한다.

나폴레옹은 러시아의 저항에 퇴각을 결심하고, 피에르를 포함한 포로들은 강제 행군을 한다. 페티야는 전투 중 사망하고, 피에르는 풀려나지만 슬픔에 잠긴다. 돌로호프는 피에르에게 엘렌의 죽음을 알리고, 러시아군은 프랑스군을 추격한다.

로스토프 가는 모스크바로 돌아와 폐허가 된 저택을 발견하지만, 나타샤는 희망을 잃지 않는다. 피에르와 나타샤는 재회하여 서로의 상처를 위로하고 사랑을 확인한다.

3. 2. 아우스터리츠 전투와 틸지트 조약

1805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침략 전쟁으로 유럽은 혼란에 휩싸인다. 모스크바의 일리야 로스토프 백작 가문에서는 아들 니콜라이 로스토프가 입대하고, 피에르 베주호프는 파리에서 돌아와 나폴레옹을 옹호한다. 피에르는 아버지 베주호프 백작의 유산을 상속받고 엘렌 쿠라기나와 결혼한다.

안드레이 볼콘스키는 미하일 쿠투조프의 부관으로 아우스터리츠 전투에 참전했다가 부상당하고, 나폴레옹의 배려로 치료를 받는다. 한편, 모스크바에서는 틸지트 조약 체결 소식이 전해지고, 안드레이는 아내 리즈의 죽음을 겪는다. 피에르는 엘렌의 불륜에 분노하여 돌로호프와 결투를 벌이고, 로스토프 가의 영지로 떠난다.

이후 안드레이는 나타샤 로스토바에게 매혹되어 청혼하지만, 1년의 유예 기간을 갖는다. 그 사이 나타샤는 아나톨 쿠라긴에게 유혹당하고,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안드레이와의 관계는 파국을 맞는다.

3. 3. 피에르와 엘렌의 결혼과 결별

1805년, 피에르 베주호프는 베주호프 백작의 사생아로 파리에서 돌아와 평화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엘렌 쿠라기나는 피에르에게 즉시 관심을 보이고, 그녀의 아버지인 바실리 쿠라긴 공작의 계략으로 피에르는 엘렌과 결혼하게 된다.

시간이 흐르면서 엘렌은 돌로호프와 바람을 피우고, 이 소문을 들은 피에르는 돌로호프에게 결투를 신청한다. 피에르는 결투에서 돌로호프에게 부상을 입혔지만, 자신은 무사했다. 이 사건에 충격을 받은 피에르는 엘렌과 결별하고 로스토프 가와 함께 시골 영지로 떠난다. 이후 피에르는 엘렌의 사망 소식을 듣게 된다.

3. 4. 안드레이와 나타샤의 사랑과 이별

1805년, 모스크바의 일리야 로스토프 백작의 딸 나타샤는 안드레이 볼콘스키 공작과 첫 만남을 가진다. 이후 나타샤는 안드레이와 춤을 추며 사랑에 빠지고, 안드레이는 그녀와의 결혼을 결심한다. 하지만 볼콘스키 공작의 반대로 1년간의 유예 기간을 갖게 되고, 안드레이는 알렉산드르 1세와 나폴레옹의 틸지트 조약 체결을 위해 프로이센으로 떠난다.

안드레이가 떠난 사이, 나타샤는 아나톨 쿠라긴에게 유혹당한다. 아나톨은 이미 비밀리에 결혼한 상태였지만, 나타샤는 그와 도주하려다 소냐와 피에르에 의해 저지된다. 피에르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나타샤와 아나톨의 관계는 모스크바에 소문으로 퍼지고, 안드레이는 나타샤와의 관계를 끊는다. 병에 걸린 나타샤는 피에르에게 안드레이에게 용서를 구하고, 피에르는 그녀를 위로한다.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이 시작되고, 보로디노 전투에서 안드레이는 큰 부상을 입는다. 피에르는 안드레이에게 나타샤를 용서하라고 설득하지만, 안드레이는 거절한다. 부상병으로 후송된 안드레이는 나타샤와 재회하지만, 결국 상처로 인해 사망한다.

3. 5.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1812년, 나폴레옹은 평화 조약에도 불구하고 네만 강을 건너 러시아로 진격한다. 그랑 다르메의 우세에 직면한 쿠투조프는 부하들에게 퇴각 명령을 내리고, 병사들과 농민들은 프랑스군이 식량을 공급받지 못하도록 시골에 불을 지른다. 그의 장교들은 그의 전략에 항의했지만, 쿠투조프는 프랑스가 스스로 지치도록 내버려 두는 것만이 러시아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곧 스몰렌스크가 버려지고 쿠투조프는 보로디노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기로 결정한다.

전쟁을 직접 보고 그것에 대한 자신의 증오가 타당한지 결정하기 위해 피에르는 보로디노로 가서 전투 전날 안드레이의 진영을 발견한다. 피에르는 안드레이에게 나타샤를 용서하라고 설득하지만, 안드레이는 그럴 수 없다고 말한다. 다음 날 아침, 피에르는 주변에서 격렬하게 싸우며 프랑스군이 러시아군을 학살하는 것을 공포에 질린 채 지켜본다. 마침내 자신의 영웅이 폭군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달은 피에르는 나폴레옹을 저주한다. 쿠투조프는 모스크바 너머로 후퇴하기로 결정하고, 고대 수도를 프랑스군에게 넘겨준다.

모스크바에서 로스토프 가는 부상당한 러시아 병사들이 도착하여 떠난 후 그들의 집에 묵을 수 있기를 바라며 도망갈 준비를 하는 많은 가족 중 하나이다. 그러나 나타샤는 그들을 포획된 채로 남겨둘 수 없다고 주장했고, 그들은 로스토프 가의 마차에 실려 멀리 떨어진 마을로 이송되었다. 나폴레옹은 정부가 도망쳐 그에게 항복할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사실을 알고 격분한다. 피에르는 언젠가 프랑스 황제를 암살하기 위해 잠복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어 포로로 잡힌다. 한편 나타샤는 안드레이가 그들이 돌보고 있는 부상자 중 한 명이라는 것을 알고 그와 재회한다.

3. 6. 안드레이의 죽음과 피에르의 방황

1812년, 나폴레옹러시아 원정으로 인해 러시아는 혼란에 빠진다.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부상당한 안드레이는 나폴레옹의 주치의에게 치료를 받지만, 고향으로 돌아온 후 아내 리즈의 죽음으로 깊은 슬픔에 잠긴다. 한편, 엘렌 쿠라기나와 결별한 피에르는 나타샤에게 끌리지만, 나타샤는 아나톨 쿠라긴에게 유혹당해 상처를 입는다.

전쟁이 격화되면서, 쿠투조프는 그랑 다르메에 맞서 보로디노 전투를 벌인다. 이 전투에서 안드레이는 다시 부상을 입고, 피에르는 전쟁의 참혹함을 목격하며 나폴레옹에 대한 환멸을 느낀다. 모스크바가 함락된 후, 피에르는 프랑스군의 포로가 되지만, 그곳에서 농민 플라톤을 만나 삶의 의미를 깨닫는다. 한편, 나타샤는 부상병들을 돌보던 중 안드레이와 재회하지만, 그의 상처는 깊어져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

3. 7. 프랑스군의 퇴각과 등장인물들의 재회

러시아의 혹독한 겨울 속에서 프랑스군은 퇴각을 강요당한다. 피에르와 플라톤을 포함한 포로들은 병사들과 함께 2000마일의 행군을 강요당하고, 그들 중 많은 사람이 죽는다. 러시아 병사들은 프랑스군을 따라가며 휴식을 거의 주지 않고 낙오병을 골라낸다. 부모의 뜻에 반하여 군대에 입대한 페티야는 돌로호프에게 연락을 보내 그의 소대에게 주력 연대에 합류하라는 명령을 보낸다. 마지막 전투를 갈망한 돌로호프는 다음날 아침 프랑스군을 공격하겠다고 주장하고 페티야가 그와 동행하도록 허락한다. 페티야는 교전 중에 사망하고, 피에르는 풀려났지만 소년의 죽음에 너무 압도되어 기뻐할 수 없었다. 돌로호프는 피에르에게 엘렌이 죽었다고 알리고, 나중에 네만 강을 건너 도망치는 프랑스군을 공격하는 다른 러시아 병사들과 합류한다.

한편, 로스토프 가는 모스크바로 돌아와 저택이 불에 타서 한쪽 날개만 남은 것을 발견한다. 그러나 나타샤는 가족들을 격려하여 최선을 다하도록 하고, 다른 사람들이 정착하자 나타샤는 슬프게 행복했던 시절을 기억한다. 그녀는 현관에서 피에르를 보고 그를 껴안기 위해 달려간다. 그녀는 피에르에게 그가 고통을 겪고 상처를 보여주지만 여전히 서 있는 그들의 집과 같다고 말하며 그에게 키스하고, 그들은 함께 정원에서 걷는다.

4. 제작 과정

알렉산더 코다는 1941년 초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화로 각색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으며, 오슨 웰스 연출, 멀 오베론, 아그네스 무어헤드 출연, 릴리안 헬만 각본으로 제작이 예정되어 있었다.[5] 그러나 소련 정부와의 합의 실패로 인해 제작은 무산되었다.[5] 1950년대에는 마이크 토드가 영화 각색을 추진하여 소련 및 유고슬라비아 관계자들과 촬영 장소 및 엑스트라 섭외를 논의하고, 프레드 진네만을 감독으로 고용했으나, ''80일간의 세계 일주'' 제작에 집중하기 위해 포기했다.[5]

1954년 10월, 이탈리아 프로듀서 디노 드 로렌티스카를로 폰티는 영화 제작을 발표했다.[5] 초기에는 엘리아 카잔 감독, 제라르 필리프말론 브란도 주연으로 섭외하려 했으나, 카잔과의 계약이 불발되자 마리오 카메리니를 대체 감독으로 발표했다가 결국 킹 비더를 고용했다.[5]

''전쟁과 평화''는 1956년 당시 주류 영화로서는 이례적으로 많은 6명의 각본가가 참여했다.[5] 각본 초고는 평균 각본의 5배에 달하는 506페이지였다.[5]

어윈 쇼는 각본가 중 한 명이었지만, 킹 비더의 아내 엘리자베스 힐이 대사의 상당 부분을 다시 썼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이름을 크레딧에서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5] 비더 또한 촬영 중에 광범위한 수정을 가했다.[5] 최종 각본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기여자는 장 오렌쉬, 피에르 보스트, 세르지오 아미데이, 잔 가스파레 나폴리타노, 그리고 2차 유닛 감독 마리오 솔다티 등이 있었다.[5]

오드리 헵번은 이전에 캐스팅 1순위였던 진 시몬스가 출연을 거절한 후 나타샤 역으로 캐스팅되었다.[5] 토드는 이전에 실패한 각색을 위해 그녀를 고용하려 했지만, 그녀는 35만 달러의 기록적인 출연료를 제안한 디노 데 라우렌티스와 카를로 폰티와 계약을 맺었다.[5] 이 계약은 헵번에게 의상 담당 위베르 드 지방시와 메이크업 아티스트 그라치아 데 로시를 고용하는 등 상당한 창작 권한을 부여했다.[5] 그녀는 또한 남편 멜 페러를 안드레이 역으로 고용하는 것을 도왔는데, 이는 부부가 함께 스크린에 출연한 유일한 경우였다.[5] 헵번이 당시 파라마운트 픽처스와 어소시에이티드 브리티시 픽처 코퍼레이션과 계약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두 회사는 헵번의 출연료를 대가로 미국과 영국 배급권을 각각 받았다.[5]

1955년 영화 《전쟁과 평화》 촬영장의 오드리 헵번과 멜 페러


킹 비더는 피에르 역으로 폴 스코필드나 피터 유스티노프를 원했지만, 데 라우렌티스는 두 배우 모두 "시장에 내다 팔 수 없다"고 생각하여 제안을 거절했다.[5] 그레고리 펙, 몽고메리 클리프트, 스튜어트 그레인저, 리처드 버튼, 말론 브란도가 모두 고려되었다.[5] 결국 이 역할에 캐스팅된 헨리 폰다는 배역을 맡기에는 너무 나이가 많다고 널리 여겨졌다(그는 당시 50세였고, 30살이나 어린 배역을 연기했다).[5] 그는 나중에 돈 때문에, 그리고 소설의 팬이기 때문에 이 역할을 맡은 것을 후회한다고 말했다.[5] 그는 자신이 받은 대본이 비더가 대대적으로 수정하여 촬영에 사용된 대본과 매우 달랐다고 주장했다.[5]

알린 달은 원래 헬렌 역으로 캐스팅되었지만, 촬영 직전에 병에 걸려 아니타 에크베르그로 교체되었고, 그녀는 뱃작 프로덕션에서 차용되었다.[5] 이 영화는 에크베르그의 획기적인 작품이었고 그녀의 국제적인 스타덤을 이끌었다.[5]

프레드릭 마치는 원래 쿠투조프 원수 역으로 캐스팅되었지만, 촬영 전에 오스카 호몰카로 교체되었고, 그는 이 연기로 BAFTA 후보에 올랐다.[5] 발렌티나 코르테세, 지노 체르비, 마시모 세라토는 모두 1955년에 배역이 정해졌지만, 촬영 시작 전에 어떤 시점에서 하차했다.[5]

이 영화는 주로 로마의 폰티-데 로렌티스와 치네치타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으며, 로마, 토리노, 사르데냐에서도 촬영이 진행되었다.[5] 영화를 위해 10만 개가 넘는 제복, 의상, 가발이 원래의 현대적인 그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5] 약 18,000명의 이탈리아 군인이 영화의 대규모 전투 장면에 엑스트라로 동원되었는데, 이로 인해 의회에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5] 전투 장면은 주로 마리오 솔다티가 연출했으며, 65명의 의사를 군인 복장으로 현장에 배치하여 촬영 중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엑스트라나 스턴트맨을 돌보도록 했다.

디노 데 라우렌티스는 전투 장면에 1만 8천 명의 이탈리아 군 병사를 사용하여 나폴레옹 시대의 러시아 병사와 프랑스 병사의 군복을 입혔다. 이 군복의 단추에 10만 개 이상을 사용했으며, 약 7천 벌의 의상, 약 4500정의 총, 200문의 대포가 제작되었다.[26][27] 눈보라 장면에서는 콘플레이크 인공 눈을 대량으로 사용했다.[28][29] 1812년의 모스크바 시가지는 테베레 강변을 따라 조성되어 진짜와 구별하기 어려웠으며,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입성 시에 불태워졌다.[26][27]

폰다는 피에르의 캐릭터 묘사를 놓고 촬영 내내 데 로렌티스와 여러 차례 충돌했다. 소설을 읽어본 적이 없는 데 로렌티스는 피에르를 더 전형적인 낭만적이고 영웅적인 주인공으로 묘사하고, 안경을 쓰지 말 것을 고집했다. 폰다는 데 로렌티스가 안경을 쓴 자신을 볼 때마다 격노하여 소리를 지르곤 했다고 주장하며, 데 로렌티스가 촬영장에 없을 때만 안경을 썼다고 말했다.

실내 장면은 폰티-로렌티스 촬영소의 4개 스테이지, 치네치타 촬영소의 3개 스테이지, 센트로 스페리멘탈레 촬영소의 3개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촬영되었다[26][27]

킹 비더 감독은 1972년에 저술한 '영화 제작에 대해'라는 책에서 오드리 헵번과 관련하여, "저 영화를 만들고 나서---그에 앞선 수년 간을 포함해서---그렇게 훌륭하게 그 역할에 적응할 수 있는 여성은 아직 생각할 수 없다. 그녀는 그 몸짓과 템포에 대해 감독을 기쁘게 하는 직관적인 지혜를 가지고 움직였다."라고 말했다.[30][31] 그리고 헵번에 대해 "지금까지 감독했던 여배우 중 누구를 제일 좋아합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항상 즉시 한 명, 마음에 떠오른다"라고 말했다.[30][32]

스웨덴 배우 아니타 에크베르크와 메이 브리트는 억양이 너무 강하다고 여겨져 편집 과정에서 모든 대사가 재더빙되었다. 몇몇 이탈리아 조연 배우들 역시 더빙되었다.

이탈리아 버전은 엔리코 마리아 살레르노와 비토리오 가스만의 감독 하에 완전히 더빙되었다.

니노 로타가 작곡한 음악은 프랑코 페라라가 지휘하였다.

4. 1. 기획 및 각본

알렉산더 코다는 1941년 초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화로 각색하는 데 관심을 표명했으며, 오슨 웰스 연출, 멀 오베론, 아그네스 무어헤드 출연, 릴리안 헬만 각본으로 제작이 예정되어 있었다.[5] 그러나 소련 정부와의 합의 실패로 인해 제작은 무산되었다.[5] 1950년대에는 마이크 토드가 영화 각색을 추진하여 소련 및 유고슬라비아 관계자들과 촬영 장소 및 엑스트라 섭외를 논의하고, 프레드 진네만을 감독으로 고용했으나, ''80일간의 세계 일주'' 제작에 집중하기 위해 포기했다.[5]

1954년 10월, 이탈리아 프로듀서 디노 드 로렌티스카를로 폰티는 영화 제작을 발표했다.[5] 초기에는 엘리아 카잔 감독, 제라르 필리프말론 브란도 주연으로 섭외하려 했으나, 카잔과의 계약이 불발되자 마리오 카메리니를 대체 감독으로 발표했다가 결국 킹 비더를 고용했다.[5]

''전쟁과 평화''는 1956년 당시 주류 영화로서는 이례적으로 많은 6명의 각본가가 참여했다.[5] 각본 초고는 평균 각본의 5배에 달하는 506페이지였다.[5]

어윈 쇼는 각본가 중 한 명이었지만, 킹 비더의 아내 엘리자베스 힐이 대사의 상당 부분을 다시 썼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이름을 크레딧에서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5] 비더 또한 촬영 중에 광범위한 수정을 가했다.[5] 최종 각본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기여자는 장 오렌쉬, 피에르 보스트, 세르지오 아미데이, 잔 가스파레 나폴리타노, 그리고 2차 유닛 감독 마리오 솔다티 등이 있었다.[5]

4. 2. 캐스팅

오드리 헵번은 이전에 캐스팅 1순위였던 진 시몬스가 출연을 거절한 후 나타샤 역으로 캐스팅되었다.[5] 토드는 이전에 실패한 각색을 위해 그녀를 고용하려 했지만, 그녀는 35만 달러의 기록적인 출연료를 제안한 디노 데 라우렌티스와 카를로 폰티와 계약을 맺었다.[5] 이 계약은 헵번에게 의상 담당 위베르 드 지방시와 메이크업 아티스트 그라치아 데 로시를 고용하는 등 상당한 창작 권한을 부여했다.[5] 그녀는 또한 남편 멜 페러를 안드레이 역으로 고용하는 것을 도왔는데, 이는 부부가 함께 스크린에 출연한 유일한 경우였다.[5] 헵번이 당시 파라마운트 픽처스와 어소시에이티드 브리티시 픽처 코퍼레이션과 계약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두 회사는 헵번의 출연료를 대가로 미국과 영국 배급권을 각각 받았다.[5]

킹 비더는 피에르 역으로 폴 스코필드나 피터 유스티노프를 원했지만, 데 라우렌티스는 두 배우 모두 "시장에 내다 팔 수 없다"고 생각하여 제안을 거절했다.[5] 그레고리 펙, 몽고메리 클리프트, 스튜어트 그레인저, 리처드 버튼, 말론 브란도가 모두 고려되었다.[5] 결국 이 역할에 캐스팅된 헨리 폰다는 배역을 맡기에는 너무 나이가 많다고 널리 여겨졌다(그는 당시 50세였고, 30살이나 어린 배역을 연기했다).[5] 그는 나중에 돈 때문에, 그리고 소설의 팬이기 때문에 이 역할을 맡은 것을 후회한다고 말했다.[5] 그는 자신이 받은 대본이 비더가 대대적으로 수정하여 촬영에 사용된 대본과 매우 달랐다고 주장했다.[5]

알린 달은 원래 헬렌 역으로 캐스팅되었지만, 촬영 직전에 병에 걸려 아니타 에크베르그로 교체되었고, 그녀는 뱃작 프로덕션에서 차용되었다.[5] 이 영화는 에크베르그의 획기적인 작품이었고 그녀의 국제적인 스타덤을 이끌었다.[5]

프레드릭 마치는 원래 쿠투조프 원수 역으로 캐스팅되었지만, 촬영 전에 오스카 호몰카로 교체되었고, 그는 이 연기로 BAFTA 후보에 올랐다.[5] 발렌티나 코르테세, 지노 체르비, 마시모 세라토는 모두 1955년에 배역이 정해졌지만, 촬영 시작 전에 어떤 시점에서 하차했다.[5]

4. 3. 촬영

이 영화는 주로 로마의 폰티-데 로렌티스와 치네치타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으며, 로마, 토리노, 사르데냐에서도 촬영이 진행되었다.[5] 영화를 위해 10만 개가 넘는 제복, 의상, 가발이 원래의 현대적인 그림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5] 약 18,000명의 이탈리아 군인이 영화의 대규모 전투 장면에 엑스트라로 동원되었는데, 이로 인해 의회에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5] 전투 장면은 주로 마리오 솔다티가 연출했으며, 65명의 의사를 군인 복장으로 현장에 배치하여 촬영 중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엑스트라나 스턴트맨을 돌보도록 했다.

디노 데 라우렌티스는 전투 장면에 1만 8천 명의 이탈리아 군 병사를 사용하여 나폴레옹 시대의 러시아 병사와 프랑스 병사의 군복을 입혔다. 이 군복의 단추에 10만 개 이상을 사용했으며, 약 7천 벌의 의상, 약 4500정의 총, 200문의 대포가 제작되었다.[26][27] 눈보라 장면에서는 콘플레이크 인공 눈을 대량으로 사용했다.[28][29] 1812년의 모스크바 시가지는 테베레 강변을 따라 조성되어 진짜와 구별하기 어려웠으며,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입성 시에 불태워졌다.[26][27]

폰다는 피에르의 캐릭터 묘사를 놓고 촬영 내내 데 로렌티스와 여러 차례 충돌했다. 소설을 읽어본 적이 없는 데 로렌티스는 피에르를 더 전형적인 낭만적이고 영웅적인 주인공으로 묘사하고, 안경을 쓰지 말 것을 고집했다. 폰다는 데 로렌티스가 안경을 쓴 자신을 볼 때마다 격노하여 소리를 지르곤 했다고 주장하며, 데 로렌티스가 촬영장에 없을 때만 안경을 썼다고 말했다.

실내 장면은 폰티-로렌티스 촬영소의 4개 스테이지, 치네치타 촬영소의 3개 스테이지, 센트로 스페리멘탈레 촬영소의 3개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촬영되었다[26][27]

킹 비더 감독은 1972년에 저술한 '영화 제작에 대해'라는 책에서 오드리 헵번과 관련하여, "저 영화를 만들고 나서---그에 앞선 수년 간을 포함해서---그렇게 훌륭하게 그 역할에 적응할 수 있는 여성은 아직 생각할 수 없다. 그녀는 그 몸짓과 템포에 대해 감독을 기쁘게 하는 직관적인 지혜를 가지고 움직였다."라고 말했다.[30][31] 그리고 헵번에 대해 "지금까지 감독했던 여배우 중 누구를 제일 좋아합니까?'라고 질문을 받으면, 항상 즉시 한 명, 마음에 떠오른다"라고 말했다.[30][32]

4. 4. 후반 작업

스웨덴 배우 아니타 에크베르크와 메이 브리트는 억양이 너무 강하다고 여겨져 편집 과정에서 모든 대사가 재더빙되었다. 몇몇 이탈리아 조연 배우들 역시 더빙되었다.

이탈리아 버전은 엔리코 마리아 살레르노와 비토리오 가스만의 감독 하에 완전히 더빙되었다.

니노 로타가 작곡한 음악은 프랑코 페라라가 지휘하였다.

5. 평가 및 유산

wikitext


  • 수상
  • * 골든 글로브상 외국어 영화상
  • *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외국어 영화상
  • * 영국 촬영 감독 협회상 최우수 촬영상: 잭 카디프
  • * 이탈리아 영화 기자 협회상 최우수 음악상: 니노 로타
  • * 이탈리아 영화 기자 협회상 최우수 미술상: 마리오 키아리
  • 노미네이션
  • * 아카데미 감독상: 킹 비더
  • * 아카데미 촬영상 (컬러): 잭 카디프
  • * 아카데미 의상 디자인상 (컬러): 마리아 데 마테이스
  • * 골든 글로브상 작품상 (드라마 부문)
  • * 골든 글로브상 감독상: 킹 비더
  • * 골든 글로브상 여우주연상 (드라마 부문): 오드리 헵번
  • * 골든 글로브상 남우조연상: 오스카 호몰카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작품상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여우주연상: 오드리 헵번
  •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주연상: 오드리 헵번
  • * 밤비상 여우주연상: 오드리 헵번
  • * 미국 감독 조합상 장편 영화 감독상: 킹 비더
  • * 이탈리아 영화 기자 협회상 제작상


== 흥행 및 비평 ==

1957년 1월까지, 영화 《전쟁과 평화》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625만 달러의 극장 대여 수익을 올렸다.[6] 데 라우렌티스는 파라마운트가 배급을 부적절하게 처리했으며, 2~3배의 수익을 올렸어야 한다고 생각했다.[6] 1958년 4월까지,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에서 6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7] 이 영화는 1,570만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이탈리아 역대 흥행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8]

버라이어티의 아벨 그린은 이 영화를 "최고의 전통을 가진 영화 사업 예술에 대한 풍부한 기여"라고 칭찬했다.[9] ''해리슨 리포트''는 "기술적으로 이 영화는 걸작이다. 거대한 세트, 수천 명의 거대한 출연진, 의상, 격렬한 군사력의 충돌, 모스크바의 불타는 모습, 혹독하고 마비되는 러시아 겨울 속에서 나폴레옹의 정복 무리의 비참한 퇴각 - 이 모든 것과 그 이상이 수백만 달러가 제작에 투입되었음을 감명 깊게 묘사하고 있다."라고 평했다.[10] 뉴욕 타임스의 보즐리 크로더는 이 영화를 "우리가 본 것 중 가장 웅장하고, 다채롭고, 흥미진진하다"고 칭찬했다.[11] 그러나 그는 등장인물들이 "2류 인물들이며, 진부하고 깊이가 부족하다. 그들이 화면을 가로질러 행진하는 것을 객관적인 관심으로 바라보게 되며, 거대한 전쟁 장면 속 이름 없는 병사들보다 개인적인 활력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11]

타임지는 영화 각색이 톨스토이의 소설에 충분히 충실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필연적인 결과는 장면의 압축과 줄거리의 건너뛰기로, 한 주요 등장인물에서 다른 등장인물로 주의가 분산된다"고 했다.[12] 배우들에 대해 이 잡지는 오드리 헵번을 칭찬하며 "헨리 폰다의 마른 모습은 처음에는 거대하고, 달덩이 같은 얼굴에 고뇌하는 피에르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그러나 폰다는 그의 배역에 아름답게 녹아들며, 육체적인 어색함을 그의 솟아오르는 정신에 대한 균형으로 사용하여, 그의 분노가 수동성에서 터져 나오기 때문에 더욱 끔찍하게 보이게 한다."라고 평했다.[12] 반면에,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에드윈 셜러트는 폰다가 "전장에서 그의 행동에서 반(反) 캐릭터처럼 보인다. 그는 실제로 이야기 속 평화로운 사고의 상징적인 인물이며, 여주인공의 지속적인 로맨스를 나타낸다"며 폰다의 캐스팅이 부적절하다고 느꼈다.[13] 새터데이 리뷰를 위해 리뷰한 홀리스 알퍼트는 이 각색이 "단지 간헐적으로만 흥미롭고, 원작을 일종의 그림 같은 사우어 매쉬로 만드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히 좋은 영화 제작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14]

로튼 토마토는 10개의 리뷰 중 50%가 긍정적이었고 평균 평점은 5.9/10이라고 보고했다.[15]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연구소에 의해 다음과 같은 목록에 후보로 올랐다.

  • 2005년: AFI 선정 영화 음악 100선[16]
  • 2008년: AFI 선정 10대 10 에픽 영화[17]


수상연도부문수상 후보결과
아카데미상[2]1957감독상킹 비더
촬영상(색채)잭 카디프
의상상(색채)마리아 데 마테이스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1957최우수 작품상
영국 여우주연상오드리 헵번
영국 촬영 감독 협회1956극영화 촬영상잭 카디프
미국 감독 조합1957극영화 연출상킹 비더
골든 글로브상[3]1957드라마 작품상rowspan="4"
감독상킹 비더
영화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오드리 헵번
남우조연상오스카 호몰카
외국어 영화상
은곰상1957프로듀서상디노 데 로렌티스
음악상니노 로타
최우수 프로덕션 디자인마리오 키아리
전미 비평가 위원회[18]1956외국 영화 10선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1956여우주연상오드리 헵번



== 원작과의 비교 ==

영화의 각본은 방대한 원작 소설에서 대폭 축약되었다. 주로 나타샤, 피에르, 안드레이의 복잡한 관계와 나폴레옹의 침공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개인적인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모스크바에서의 대부분의 장면은 로스토프 저택에서 진행되며, 나타샤가 안드레이를 처음 만나는 사냥과 같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시골 저택에서의 에피소드가 축약되었다. 이는 로스토프 시골 저택에서의 두 장면을 축약한 것으로, 소설에서 안드레이는 이미 나타샤의 약혼자인데 사냥에 참석하지 않는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장면은 없다. 니콜라스, 소냐, 마리아의 관계는 완화되었다. 유지된 역사적 인물은 쿠투조프 장군과 나폴레옹이다. 사소한 전투는 생략되었고, 소설에 묘사되지 않은 나폴레옹의 베레지나 전투가 추가되었다. 나타샤와 관련하여 특히 내면의 대화 개념이 유지되었지만, 영화에서는 광범위한 프랑스어 사용이 유지되지 않았다. 에필로그의 사건과 톨스토이의 역사에 대한 담론은 포함되지 않았다.

== 영화의 유산 ==

이 영화는 1959년 8월 개봉 당시 소련이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화화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연출하고 피에르 베주호프 역을 맡았으며, 뱌체슬라프 티호노프와 류드밀라 사벨리에바가 각각 안드레이 볼콘스키 공작과 나타샤 로스토바 역으로 출연한 1967년 소련 영화 《전쟁과 평화》가 그 결과물이다. 이 4부작 영화는 사실적인 전투 장면으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으며,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5. 1. 흥행 및 비평

1957년 1월까지, 영화 《전쟁과 평화》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625만 달러의 극장 대여 수익을 올렸다.[6] 데 라우렌티스는 파라마운트가 배급을 부적절하게 처리했으며, 2~3배의 수익을 올렸어야 한다고 생각했다.[6] 1958년 4월까지,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에서 6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7] 이 영화는 1,570만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이탈리아 역대 흥행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8]

버라이어티의 아벨 그린은 이 영화를 "최고의 전통을 가진 영화 사업 예술에 대한 풍부한 기여"라고 칭찬했다.[9] ''해리슨 리포트''는 "기술적으로 이 영화는 걸작이다. 거대한 세트, 수천 명의 거대한 출연진, 의상, 격렬한 군사력의 충돌, 모스크바의 불타는 모습, 혹독하고 마비되는 러시아 겨울 속에서 나폴레옹의 정복 무리의 비참한 퇴각 - 이 모든 것과 그 이상이 수백만 달러가 제작에 투입되었음을 감명 깊게 묘사하고 있다."라고 평했다.[10] 뉴욕 타임스의 보즐리 크로더는 이 영화를 "우리가 본 것 중 가장 웅장하고, 다채롭고, 흥미진진하다"고 칭찬했다.[11] 그러나 그는 등장인물들이 "2류 인물들이며, 진부하고 깊이가 부족하다. 그들이 화면을 가로질러 행진하는 것을 객관적인 관심으로 바라보게 되며, 거대한 전쟁 장면 속 이름 없는 병사들보다 개인적인 활력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11]

타임지는 영화 각색이 톨스토이의 소설에 충분히 충실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필연적인 결과는 장면의 압축과 줄거리의 건너뛰기로, 한 주요 등장인물에서 다른 등장인물로 주의가 분산된다"고 했다.[12] 배우들에 대해 이 잡지는 오드리 헵번을 칭찬하며 "헨리 폰다의 마른 모습은 처음에는 거대하고, 달덩이 같은 얼굴에 고뇌하는 피에르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그러나 폰다는 그의 배역에 아름답게 녹아들며, 육체적인 어색함을 그의 솟아오르는 정신에 대한 균형으로 사용하여, 그의 분노가 수동성에서 터져 나오기 때문에 더욱 끔찍하게 보이게 한다."라고 평했다.[12] 반면에,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의 에드윈 셜러트는 폰다가 "전장에서 그의 행동에서 반(反) 캐릭터처럼 보인다. 그는 실제로 이야기 속 평화로운 사고의 상징적인 인물이며, 여주인공의 지속적인 로맨스를 나타낸다"며 폰다의 캐스팅이 부적절하다고 느꼈다.[13] 새터데이 리뷰를 위해 리뷰한 홀리스 알퍼트는 이 각색이 "단지 간헐적으로만 흥미롭고, 원작을 일종의 그림 같은 사우어 매쉬로 만드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히 좋은 영화 제작이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14]

로튼 토마토는 10개의 리뷰 중 50%가 긍정적이었고 평균 평점은 5.9/10이라고 보고했다.[15]

이 영화는 미국 영화 연구소에 의해 다음과 같은 목록에 후보로 올랐다.

  • 2005년: AFI 선정 영화 음악 100선[16]
  • 2008년: AFI 선정 10대 10 에픽 영화[17]


수상연도부문수상 후보결과
아카데미상[2]1957감독상킹 비더
촬영상(색채)잭 카디프
의상상(색채)마리아 데 마테이스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1957최우수 작품상
영국 여우주연상오드리 헵번
영국 촬영 감독 협회1956극영화 촬영상잭 카디프
미국 감독 조합1957극영화 연출상킹 비더
골든 글로브상[3]1957드라마 작품상rowspan="4"
감독상킹 비더
영화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오드리 헵번
남우조연상오스카 호몰카
외국어 영화상
은곰상1957프로듀서상디노 데 로렌티스
음악상니노 로타
최우수 프로덕션 디자인마리오 키아리
전미 비평가 위원회[18]1956외국 영화 10선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1956여우주연상오드리 헵번


5. 2. 원작과의 비교

영화의 각본은 방대한 원작 소설에서 대폭 축약되었다. 주로 나타샤, 피에르, 안드레이의 복잡한 관계와 나폴레옹의 침공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개인적인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모스크바에서의 대부분의 장면은 로스토프 저택에서 진행되며, 나타샤가 안드레이를 처음 만나는 사냥과 같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시골 저택에서의 에피소드가 축약되었다. 이는 로스토프 시골 저택에서의 두 장면을 축약한 것으로, 소설에서 안드레이는 이미 나타샤의 약혼자인데 사냥에 참석하지 않는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장면은 없다. 니콜라스, 소냐, 마리아의 관계는 완화되었다. 유지된 역사적 인물은 쿠투조프 장군과 나폴레옹이다. 사소한 전투는 생략되었고, 소설에 묘사되지 않은 나폴레옹의 베레지나 전투가 추가되었다. 나타샤와 관련하여 특히 내면의 대화 개념이 유지되었지만, 영화에서는 광범위한 프랑스어 사용이 유지되지 않았다. 에필로그의 사건과 톨스토이의 역사에 대한 담론은 포함되지 않았다.

5. 3. 영화의 유산

이 영화는 1959년 8월 개봉 당시 소련이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화화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연출하고 피에르 베주호프 역을 맡았으며, 뱌체슬라프 티호노프와 류드밀라 사벨리에바가 각각 안드레이 볼콘스키 공작과 나타샤 로스토바 역으로 출연한 1967년 소련 영화 《전쟁과 평화》가 그 결과물이다. 이 4부작 영화는 사실적인 전투 장면으로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으며,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5. 4.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참조

[1] 간행물 Yen Yank names for War and Pace https://archive.org/[...] 1955-05
[2] 웹사이트 The 27th Academy Awards (1957)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5-03-26
[3] 웹사이트 Winners & Nominees 1957 https://www.goldengl[...] Hollywood Foreign Press Association
[4] 웹사이트 Berlinale 2020: Retrospective "King Vidor" https://www.berlinal[...]
[5] 웹사이트 AFI Catalog https://catalog.afi.[...]
[6] 간행물 Top Film Grossers of 1956 https://archive.org/[...] 1957-01-02
[7] 간행물 Dino's 120G Russo Sale; Pans Par https://archive.org/[...] 1958-04-02
[8] 웹사이트 La classifica dei film più visti di sempre al cinema in Italia https://movieplayer.[...] 2016-01-25
[9] 간행물 Film Reviews: War and Peace https://archive.org/[...] 1956-08-22
[10] 간행물 War and Peace https://archive.org/[...] 1956-08-25
[11] 뉴스 Screen: 'War and Peace' https://www.nytimes.[...] 1956-08-22
[12] 간행물 Cinema: The New Pictures https://content.time[...] 1956-09-10
[13] 뉴스 War and Peace' Hailed as New Movie Giant" https://www.newspape[...] Los Angeles Times 1956-08-24
[14] 간행물 Tolstoy in VistaVision 1956-09-08
[15] 웹사이트 War and Peace (1956) http://www.rottentom[...] Fandango Media
[16] 웹사이트 AFI's 100 Years of Film Scores Nominees http://www.afi.com/D[...]
[17] 웹사이트 AFI's 10 Top 10 Nominees http://connect.afi.c[...]
[18] 뉴스 Board of Review Honors '80 Days' https://www.nytimes.[...] 1956-12-18
[19] 웹사이트 War and Peace https://www.the-numb[...]
[20] 서적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キネマ旬報社
[21] 서적 シネアルバム5「オードリー・ヘプバーン きらめく真珠のように 夢みる白鳥のように」 芳賀書店 1971-12-20
[22] 서적 「戦争と平和」松竹セントラル劇場初版冊子型チラシ 松竹 1956
[23] 웹사이트 劇映画「戦争と平和」(前編) https://www.nhk.or.j[...] NHKクロニクル
[24] 웹사이트 劇映画「戦争と平和」(後編) https://www.nhk.or.j[...] NHKクロニクル
[25] 웹사이트 戦争と平和 http://paramount.nbc[...] パラマウント・ピクチャーズ
[26] 서적 松竹セントラル劇場映画パンフレット 松竹 1956-12
[27] 서적 「戦争と平和」プレスシート パラマウント日本支社 1956
[28] 서적 オードリー・ヘプバーン 映画に燃えた華麗な人生 近代映画社 1986-03-15
[29] 서적 オードリー・ヘプバーン 上巻 集英社 1998-05-04
[30] 서적 ライフ・オブ・オードリー・ヘップバーン キネマ旬報社 1994-01-20
[31] 서적 オードリーの愛と真実 日本文芸社 1993-12-25
[32] 서적 オードリー リアル・ストーリー アルファベータ 2003-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